랩 연구원들 주제 취합
•
최화준
◦
Steve Jobs vs Elizabeth Homles
▪
Research Q: What makes a fake hero(feat. how it spread out)
▪
두 인물의 비교(Posture, Semantics in speaking등)해서 Independent variable 그룹 도출
▪
인터넷 댓글(comment)의 분석하여 Independent variable 그룹 도출
▪
유사도(Similarity Rate)를 Dependent variable
◦
한문철 TV
▪
Research Q: Comparison of fairness in the Internet and fairness by the book
▪
Sample data for analysis: 인기(혹은 논란)가 많은 한문철 TV의 동영상 N개, 차량 사고 블랙박스는 대중적인 토픽으로 주관적 가치 판단이 영상 댓글에 많을 것. 좋은 샘플
▪
영상의 댓글과 해당 영상과 관련 판결문을 분석하여 대조
▪
Topic Modeling과 Network Analysis 를 통해 비교 대조 가능
•
김수형
◦
Developing country 와 Developed country 비교
▪
Research Q: Digital Competency( or level of AI education)와 social factor(income level or unemployment rate)의 상관 관계 규명
•
시계열 데이터를 활용해 Social factor와 Digital Competency의 상관 관계가 아닌 인과관계 규명
▪
상관관계를 국가간 비교
◦
쏘카와 같은 sharing platform의 사용이 20대의 사치품? 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가?
•
윤석채
◦
Research Q: 플랫폼 컨텐츠의 정치적 편향성이 플랫폼의 경쟁력과 어떤 관계를 가지는가?
▪
가정 1: 정치적 편향성이 강화되면 플랫폼의 유입률/수익률이 증대될 것이다. (플랫폼에 대한 강한 팬덤 형성)
▪
가정 2: 정치적 편향성이 강화되면 정치적 편향성이 약한 사람들이 거부 반응으로 인해서 플랫폼에서 빠져나갈 것이다.
◦
Issue
▪
정치적 편향성을 어떻게 측정할 것인가?
▪
어떤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어떤 컨텐츠를 가지고 정치적 편향성을 분석할 것인가?
▪
플랫폼의 경쟁력/수익성 등을 어떻게 측정할 것인가?
•
김민창
◦
Research Q: 온라인모금이 증가한 비영리조직이 사업성과도 증가했을까?
▪
온라인모금액: Donus 데이터 활용
▪
사업성과: 인지도(검색량)
▪
Others' opinion: 인지도를 사업성과로 해석 가능한가?
◦
Research Q: 온라인 정규후원자의 영향 요인
▪
정규 후원자 비율이 높다는 것은 국내 시장의 특별한 점
◦
Research Q: 온라인모금 비중이 증가한 비영리조직의 특징은 무엇일까?
▪
후원자의 연령대 분포
◦
Research Q: 코로나 이후에도 모금액이 감소하지 않은 비영리조직들의 특징은 무엇일까?
▪
정기후원자 기반의 기부 모델 분석 (1인당 후원금, 연간 후원횟수)
▪
코로나 전후에 접수된 후원해지사유 분석 (상담원 기록에서 Topic 추출)
▪
코로나 전후 신규 및 해지후원자의 분포 분석 (연령, 평균후원액 등)
◦
Research Q: 구독경제 모델은 소외계층에게 더 많은 선택권을 부여하는가? (Democratizing Access)
▪
독립변수: 메가스터디 메가패스, 이투스 월간 올공PLAN 출시 시점
▪
종속변수: 제공되는 강의 수 → 그래서 궁극적으로 학업성취도가 향상되었는가?
◦
Research Q: 구독경제 모델은 소상공인의(SMEs) 시장참여 기회를 확대하는가?
▪
Netflix에 콘텐츠를 공급하는 스튜디오의 수와 다양성
▪
Wave에 콘텐츠를 공급하는 스튜디오의 수와 다양성
▪
Tving에 콘텐츠를 공급하는 스튜디오의 수와 다양성
◦
Research Q: 국가별 인기 모바일앱의 분포는 왜 차이가 날까? Digital Divide 관점에서 의미가 있을까?
▪
독립변수: 사회문화적 요인
▪
종속변수: 국가별 매출 Top 10 모바일앱의 카테고리 다양성
◦
Research Q: Digital Divide의 수준을 소프트웨어 관점에서 정의할 수 있을까?
▪
하드웨어: '인터넷 보급률', '인터넷 속도'
▪
소프트웨어: '인기 모바일앱의 다양성'
•
김태익
◦
접근성 —> 사회화 속도
▪
RQ: How does accessibility of SNS impact on class consciousness/sexual identity of early teenagers?
◦
온라인 기부 —> 투명성
▪
RQ: Are online charity groups more transparent than offline groups?
◦
Toxicity 를 Dependent Variable 로 해볼 수 있는 연구가 있을까?
▪
RQ: How does the bad new in isolated sector spread to other sector in Online community?
•
전혁준
◦
시각장애인과 정보격차(Pending)